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

예산군 관광

슬로시티
닫기
특별한 명소 이야기 I

다채로운 관광지, 체험, 풍성한 먹거리가 있는 예산입니다.

서브비쥬얼 이미지

역사의 아름다움을 찾아서..

향천사 그리고 예산오일장에 담긴 오랜 시간의 멋

오래된 것들에는 그 역사만큼이나 깊은 따스함과 향기가 있다. 단단하고 주름 깊은 손으로 내 머리를 쓰다듬어 주시던 할머니의 추억처럼 포근한 역사 속 예산으로 가을 소풍을 가자.

향천사

향천사 메인이미지

예산읍내에서 10여 분 정도 차를 타면 금오산 기슭에 수덕사의 말사인 향천사가 나온다. 향천사는 백제 의각스님이 세운 절으로 이름처럼 향긋한 모과나무가 주렁주렁 열려있고 아주 깨끗하다. 소박하고 아담하지만 절을 방문할 때 느껴지는 특유의 안정감과 편안함은 그 크기에 비하지 않는다.

  • 23

    사진23
  • 24

    사진24
  • 25

    사진25
  • 26

    사진26

사진23,24. 향천사의 단풍.
사진25,26. 향천사로 향하는 일주문과 스님의 뒷모습.

떨어진 모과를 주워 그 향을 맡으며 가을에 취한 중년의 신사가 노래를 한다. 무엇을 노래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떨어지는 낙엽과 어울려 한 편의 비디오를 연상케 한다. 극락전에도 천불전에도 가을과 닮은 짙은 목소리는 붉게 물든 바람을 타고 퍼진다. 신사의 부인과 그 친구들의 미소는 푹 익은 홍시처럼 다디달다.

  • 27

    사진27
  • 28

    사진28

사진27,28. 범종각 처마와 단풍 그리고 낙엽.

  • 29

    사진29
  • 30

    사진30

사진29. 돌계단에 쌓인 은행잎.
사진30. 다리가 두 개뿐인 의자와 그것을 지탱하는 나무기둥.

  • 31

    사진31
  • 32

    사진32

사진31. 향천사 비석.
사진32. 돌계단 넘어 보이는 극락전.

천불전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3호로 지정되어 있다. 천불을 얻으면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으므로 부처는 과거, 현재, 미래에 각각 천불씩 존재한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. 현재 1,515불이 봉안되어 있다. 수덕사 대웅전처럼 천불전의 외형은 간결한 맞배지붕과 균형 잡힌 배흘림기둥으로 소박한 아름다움을 보인다.

  • 33

    사진33
  • 34

    사진34

사진33. 범종각.
사진34. 나한전 앞의 9층 석탑.

  • 35

    사진35
  • 36

    사진36

사진35. 9층 석탑에 올려진 작은 동자승 인형.
사진36. 요사채의 문

  • 37

    사진37
  • 38

    사진38

사진37. 극락전 전경.
사진38. 천불전 전경.

  • 39

    사진39
  • 40

    사진40

사진39,40. 향천산책로와 그곳을 오르는 사람들.

  • 41

    사진41
  • 42

    사진42

사진41. 낙엽에 맺힌 이슬.
사진42. 산책로에서 만난 동백꽃.

나한전 앞에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4호인 9층 석탑이 있다. 이 석탑은 임진왜란 때 훼손되어 형체가 완전하지는 않지만 오랜 시간 버티어 절의 역사를 알려주는 고마운 지표가 된다.

  • 43

    사진43
  • 44

    사진44
  • 45

    사진45
  • 46

    사진46

사진43,44,45,46. 향천산책로 풍경.

  • 47

    사진47
  • 48

    사진48

사진47. 약수터.
사진48. 스님의 털고무신.

예산오일장

한국고건축 박물관 메인이미지
  • 50

    사진50
  • 51

    사진51

사진50. 사과 모양의 예산전통시장 간판.
사진51. 북적이는 예산 오일장 풍경.

  • 52

    사진52
  • 53

    사진53

사진52. 해산물이 신기한듯 만져보는 아이.
사진53. 배를 구입하는 손님과 상인.

한 손에 커피를 들고 휘황찬란한 것들의 사이를 거니는 도시의 생활은 더 이상 신선하지도 멋지지도 않다. 그런 게 좋아 보였던 적이 있었던 것 같은데 왜 그랬는지조차 생각이 나지 않는다. 날이 추워질수록 생각나는 건 따뜻한 라떼도 크리스마스의 화려한 트리도 아니다. 어묵 국물이 마시고 싶다. 모락모락 김이 나는 계란빵도 손에 들고 제철을 맞은 신선한 채소와 생선, 그리고 삭막하지 않은 삶의 냄새를 맡고 싶다.

  • 54

    사진54
  • 55

    사진55

사진54. 제철 전어와 잡어가 한 대야에 가득이다.
사진55. 싱싱한 당근.

  • 56

    사진56
  • 57

    사진57

사진56. 예산 오일장 풍경.
사진57. 파를 다듬는 상인의 손.

국수발이 햇볕에 새하얗게 반짝인다. 국수는 어쩌면 이리도 하얗고 반듯할까. 참 곱다. 예산시장에 들어서면 화사하게 빛나는 국수들이 길게 늘어서서 사람들을 맞이한다. 예산 출신인 사람들은 예산을 벗어나면 국수를 먹을 수가 없다고 할 정도로 예산국수는 유난히 맛이 좋기로 유명하다. 먹기 아까울 정도로 고운데도 불구하고 주머니 사정이 어떻든 쉽고 맛있게 후룩후루룩 삼켜 든든히 배를 채울 수 있다니 참 고맙다.

  • 58

    사진58
  • 59

    사진59
  • 60

    사진60

사진58. 고등어.
사진59. 북적이는 장내 모습.
사진60. 예산국수 말리는 모습.

  • 61

    사진61
  • 62

    사진62

사진61. 맛있는 풀빵냄새가 장터에 풍긴다.
사진62. 화려한 옷전

펑! 소리가 크게 울리고 연기가 뭉게뭉게 퍼진다. 싸늘한 공기 속에서도 그 풍경은 포근하다. 언니의 귀를 대신 막아주는 동생의 얼굴에는 고성으로 인한 찡그림이 아닌 해맑은 미소로 가득하다. 따뜻하게 튀겨져 나온 뻥튀기만큼이나 훈훈함이 넘친다. 다가올 겨울은 예산시장에서 본 이 장면들의 기억으로 별로 춥지 않게 보낼 수 있을 것 같다.

  • 63

    사진63
  • 64

    사진64

사진63,64. 고소한계란빵

  • 65

    사진65
  • 66

    사진66

사진65,66. 뻥튀기 연기와 큰소리에 귀를 막는 아이들.

Information

향천사
주소
  • 충남 예산군 예산읍 향천리 56
  • 전화번호 041-331-3556
교통정보
  • 자가용: 서울->서해안고속도로->대전당진간고속도로->예산.수덕사IC->예산->예산->국도 32호선(공주방향)->향천사입구(쌍송시외버스 정류소 3㎞)->향천사
  • 기차: 용산역->예산역(05:30~20:445, 16회/일, 2시간소요)
  • 시내버스: 예산역,예산터미널->쌍송배기->향천사(수시,10분소요)
예산재래시장
주소
  • 충남 예산읍 예산리 333번지
  • 오일장 서는 날: 5,10,15,20,25,30일
  • 상가번영회 문의: 041-335-5568
교통정보
  • 자가용: 서울->서해안고속도로->대전당진간고속도로->예산.수덕사IC->예산->예산->국도 32호선(공주방향)->예산상설시장
  • 시내버스: 예산역, 예산터미널->쌍송배기->예산상설시장(수시,10분소요)
만족도조사
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사용 편의성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?